글쓴이 |
운영자 |
작성일 |
2003-07-18 |
제목 |
섬유산업, 시장지향적 전략 필요 |
국내 섬유산업의 공동화는 인건비 상승과 함께 납품 위주의 생산 지향적 산업 구조를 탈피하지 못한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섬유산업연합회(회장 박성철)는 최근 발표한 `섬유산업 공동화 원인 및 대책'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전했다. 보고서는 섬유산업의 공동화 원인으로 크게 국내적 요인과 국제적 요인으로 구분했는데 우선 국내적 요인의 경우 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인건비의 급격한 상승을 들었으며 다음으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 전후로 엄격한 원산지 적용을 받는 `일반 관세 특혜'(GSP) 혜택에서 우리나라가 제외됨에 따라 외국인들이 우리나라를 더 이상 투자 적격 국가로 보지 않게 되었다고 지적했다. 또한 현재까지 국내 의류 수출품의 90%가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에 의존하고 있음을 볼 때 그동안 업계 차원에서 기술 및 디자인 개발을 통한 제품의 고부가가치화에 힘쓰기 보다는 생산기지의 해외이전 등 제조원가 절감에만 급급한 것도 중요 원인이라 주장했다. 그러나 문제는 기업 내부 사정의 어려움도 있는데 보고서는 최근 섬유기업들의 한계수익성이 한계에 도달하는 등 IMF 이전인 97년초와 동일한 상황이 재연되면서 생산을 활성화 시킬 의욕이 떨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즉, 과거에는 한 기업내에서 쇠퇴기에 접어든 제품에 대해서는 그 대안으로 새로운 아이템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투자가 이어졌으나 IMF 이후 축소 지향의 구조조정으로 새로운 분야로 나아가고자 하는 기업의 도전력과 창의성이 상실 되었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국제적인 원인으로는 지역무역협정(RTA)이 확대되면서 각 국가들이 자국 산업 보 조치를 추진하고 있는 점을 들었으며 또한 ATC협정에 따라 섬유 및 의류 쿼터가 단계적으로 철폐됨에 따라 자국 섬유산업 보호망이 사라지고 대신 자유경제 체제로 돌아서면서 중국과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이고, 대규모 유통업체가 생성되면서 유통업체가 가격 인하를 요구하거나 의류 생산지를 결정하는 등 과거 공급자가 가지고 있던 힘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점 등을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섬유산업 공동화의 위기를 극복하고 차세대 성장 산업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업들이 생산지향적 전략을 포기하고 '시장 지향적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연구개발(R·D)에 투자가 이뤄져야 함은 물론 생산 개발·마케팅·분배와 같은 자본 및 노하우 지향적 분야는 유지하되 저임금 분야, 노동 집약적 분야와 표준화된 제품 생산 분야는 부분적으로 제3국에 이전 시키는 이원화 전략을 구사해야 한다고 전했다. 한편 정부도 산업용 섬유 산업 개발 육성 및 해외투자 유인을 위해 관련 제도를 개편하고, 인재 육성을 위한 과감한 투자 및 프로그램 개발도 이루어야 한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국내 해외위탁가공 수입에 대한 관세감면 제도를 확대 실시, 국내 원산지의 원·부자재를 사용한 제품을 제3국에서 생산하여 국내에 재수입될 경우 생산된 제품의 부가가치에만 관세를 부여함으로써 국내 산업의 투자 촉진을 유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
|